CONFIRM

교육비 지원받고, 책은 무료로 받고!
바쁜 일상 굿티처 북러닝으로 틈틈히 자기계발하세요.

북러닝 교육안내

 

썸네일

미래를 위한 놀이와 교육

  • 환급과정
  • 일반과정(비환급)
신청기간
2023년 03월 16일 ~ 2023년 04월 15일
학습기간
2023년 05월 01일 ~ 2023년 06월 30일 / 8주차
수료기준
주차별평가 + 총 환산점수 60점 이상
교재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1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2

기업규모

83,780 원
24,019
교육신청하기 수료증 샘플보기
교육목차
과정명 미래를 위한 놀이와 교육
교육기간 2023년 05월 01일 ~ 2023년 06월 30일
교육차시 8차시 (8주차)
교육대상 어린이집 보육교사
과정소개 놀이의 핵심은 무엇일까? 놀이를 통한 학습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미래의 유능한 인재로 영유아를 키워내기 위해 필요한 교육, 영유아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인 놀이, 그에 기초해서 발달하게 되는 인간, 그리고 생태학의 깊은 뿌리를 찾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인 ‘놀이’를 탐색할 수 있다.
교육목표 ① 유아교육이라는 학교 체제에서 다소 벗어나 학교 교육을 생태학과 연결 지어 고민해온 연구들을 이해할 수 있다.
② 놀이와 인간, 생태학의 깊은 뿌리를 찾아가는 것에 초점을 맞춰 각 연구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할 수 있다.


  • 1개월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1

    • 임부연 외 9명 저
    • 교육과학사
    • 2020.02.15

    이 교재는 미래와 학교 교육을 새로운 언어로 고민해온 내용으로 총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교육’이라는 장에서 매우 진보적이고 비평적 글쓰기를 지속적으로 실험해온 학자들의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가르치는 대상이나 교육의 경험 영역은 모두 다르지만, 미래사회와 학교 교육을 고민하는 데는 큰 경계가 없었다. 특히 유아교육이 전공이 아닌 분들이 모여서 각자 고민한 영역이 특정 연령이나 특정 교과목이 아니라는 점에 기꺼이 뜻을 모으고 그동안 고민해온 교육의 문제를 ‘미래, 학교, 놀이와 교육’으로 묶어 보자는 제안에 기꺼이 함께 동참해준 집필자들의 공감으로 이 책이 출간되게 되었다. 모두 교육학자들이지만, 어떤 사람은 철학을, 어떤 사람은 방법론을, 어떤 사람은 인문학을 교육과 접목하여 새로운 영역의 확장에 관심을 두어온 학자들이다.

    이 교재에는 유아교육 전공자들이 보면 다소 낯선 내용들이 들어있다. 그러나 초중등학교 교육이나 특정의 영역을 벗어나 교육 일반에 대해 조금만 고민해 본다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 현재 교육학을 새롭게 진전시켜 보고자 일어나고 있는 크고 작은 철학적 담론, 새로운 학문 영역을 개척해온 연구자들이 미래와 학교 교육문화 생태계라는 주제로 뜻을 모아보고자 한 것이다.


    <목차>
    제1장 이미지와 어린이 놀이의 생태성: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에 기반한 놀이중심 미래학교에 대한 소고
    제2장 놀이의 철학과 아곤의 교육
    제3장 빌둥(Bildung) 개념으로 이해하는 교육 생태학의 미학(美學)
    제4장 교육과 놀이, 그 관계맺음의 역사
    제5장 질적연구가 교육과정 생태성 복원에 주는 함의
    제6장 실험과 배움 그리고 유아 놀이의 생태성
    제7장 우연과 반복의 축제로서 놀이와 배움: 니체와 들뢰즈에게서 배우는 놀이
    제8장 물질은 어떻게 아이들과 더불어 운동하는가?: 한 공동육아 아이들의 놀이에서 발견한 물질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해
    제9장 유아교육과정과 놀이 페다고지: 유아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
    제10장 새로운 교육담론과 실험적 실천: 뇌과학, 놀이 그리고 페다고지

  • 2개월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2

    • 임부연 외 9명 저
    • 교육과학사
    • 2020.02.15

    이 교재는 미래와 학교 교육을 새로운 언어로 고민해온 내용으로 총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권은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BK21플러스 사업의 마지막 해에 참여한 연구원들이 쓴 소논문을 중심으로 묶은 책이다.

    이 교재에는 유아교육 전공자들이 보면 다소 낯선 내용들이 들어있다. 그러나 초중등학교 교육이나 특정의 영역을 벗어나 교육 일반에 대해 조금만 고민해 본다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 현재 교육학을 새롭게 진전시켜 보고자 일어나고 있는 크고 작은 철학적 담론, 새로운 학문 영역을 개척해온 연구자들이 미래와 학교 교육문화 생태계라는 주제로 뜻을 모아보고자 한 것이다.


    <목차>
    제1장 공존과 생성의 교육생태계로서 이야기 공동체 속 말놀이 들여다보기
    제2장 유아예술~놀이를 넘나드는 순간 포착하기
    제3장 어린이 놀이 공간 연구에 대한 함의
    제4장 교육생태계의 시각으로 유아교육과정 바라보기: 복잡성 철학을 중심으로
    제5장 교육생태계와의 상생을 위한 유아수학교육의 방향성 탐구
    제6장 놀이와 배움의 얽힘 속에 놓인 유아교사의 위치성
    제7장 엄마와 아이의 놀이에서 배움의 의미 고찰: 노랫말 놀이를 중심으로
    제8장 유아교사의 주체성 생산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생태학적 관점에서 그들의 내부-작용(intra-action)을 귀로 느끼는 글
    제9장 되기(becoming)의 교육과정을 위한 기관평가의 방향 탐색
    제10장 놀이~교육과정~삶의 생태학적 관계 ·
    제11장 들뢰즈 철학으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재)구상하기

교육목차
1차시 어린이 놀이의 생태성과 철학
2차시 교육 생태학의 미학과 교육 놀이의 관계맺음
3차시 놀이의 생태성과 배움
4차시 물질의 운동성과 놀이 페다고지
5차시 말놀이와 예술놀이, 공간
6차시 교육생태계의 복잡성, 방향성, 위치성
7차시 노랫말 놀이와 유아교사의 주체성, 기관평가
8차시 놀이와 삶의 관계, 교육과정 재구상
주차별학습(진행단계평가) 필수
+
총 환산점수 60점 이상
수료기준
구분 진도율 점수 반영율 총점
과제 진행단계평가 최종평가 (2회)
기준 80% 이상 0% 10% 90% 환산점수 60점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