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RM

교육비 지원받고, 책은 무료로 받고!
바쁜 일상 굿티처 북러닝으로 틈틈히 자기계발하세요.

북러닝 교육안내

 

썸네일

세계의 다양한 영유아교육

  • 환급과정
  • 일반과정(비환급)
신청기간
2023년 06월 20일 ~ 2023년 07월 15일
학습기간
2023년 08월 01일 ~ 2023년 09월 30일 / 8주차
수료기준
주차별평가 + 총 환산점수 60점 이상
교재
해외의 영유아교육
비교유아교육

기업규모

83,780 원
24,019
신청 준비중 수료증 샘플보기
교육목차
과정명 세계의 다양한 영유아교육
교육기간 2023년 08월 01일 ~ 2023년 09월 30일
교육차시 8차시 (8주차)
교육대상 주요 나라의 영유아교육 현황 및 정책을 학습하고자 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 및 원장
과정소개 글로벌 시대에 나라 간의 경계는 없어지고 빠르게 정보가 공유되기 때문에 서로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 현황을 살펴보면서 우리 고유의 교육적 특성을 증진하되, 보편적인 교육의 공동기초를 다져서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검토하고, 실질적인 문제를 진단하는 안목을 제공한다.
교육목표 ① 비교교육학과 비교유아교육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② 영국, 독일, 스웨덴 등 유럽 여러 나라의 유아교육 특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③ 미국과 호주의 유아교육 특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④ 한국과 중국, 일본의 아시아 유아교육 특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⑤ 각 나라의 유아교육 특징을 통해 보육과정 운영의 시사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1개월

    해외의 영유아교육

    • 권경아 외 5명 저
    • ㈜에듀넷
    • 2018.05.01

    본 교재는 미국, 호주, 일본, 독일, 뉴질랜드 각 나라의 특성이 반영된 보육정책과 유아교육 현장 사례를 통해 그들의 관점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나라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정책과 대비하여 좋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무한 경쟁시대를 살고 있는 글로벌 시대에 나라 간 경계는 없어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영유아 시기의 교육이 이후의 어떤 교육보다도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유아교육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확대하는 추세이다. 이에 유아교육 전공자의 관점에서 해외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을 비교하여 미래의 유아교육이 지향해야 할 관점을 향상시켜 보자.


    <목차>
    Chaper 01 미국
    01. 미국 유아교육의 배경과 특성
    02. 미국의 유아 교사교육
    03. 미국의 유아교육 정책과 방향
    04. 미국의 유아교육관 평가와 향상을 위한 인증 제도(QRIS)
    05. 미국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요
    06. 미국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Chaper 02 호주
    01. 호주의 사회적 특성과 영유아교육과정(EYLF)
    02. 호주의 EYLF 교육철학에 따른 실제1
    03. 호주의 EYLF 교육철학에 따른 실제2
    04. 호주 교사교육 및 평가체계 그리고 시사점

    Chaper 03 일본
    01. 일본 유아교육기관의 유형별 특징
    02. 일본 유아교육의 동향 : 유보일원화, 자유보육
    03. 일본 보육과정 운영의 실제
    04. 일본 유아교육/보육에 대한 지역사회의 지원

    Chaper 04 독일
    01. 독일의 유아교육, 발도로프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02. 발도르프 유아교육 발달이론에 따른 교육원리
    03.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원리
    04. 발도르프 유아교육 : 리듬교육
    05. 발도르프 유아교육 : 놀이와 판타지
    06. 발도르프 유치원의 예술활동

    Chaper 05 뉴질랜드
    01. 뉴질랜드 영유아교육의 특징
    02.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 ‘테 와리키’
    03. N차일드 케어센터 :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 테 와리키 운영 사례
    04. D차일드 케어센터 : 테 와리키와 몬테소리 프로그램 병행 사례
    05. 보육과정 운영의 시사점과 평가

  • 2개월

    비교유아교육

    • 김경철 외 5명 저
    • 교육과학사
    • 2020.02.25

    지금 세계는 유아기의 교육이 그 어떤 투자보다 가치 있다는 것을 알아가고 있으며, 유아교육의 목표는 개인적, 교육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조금씩 차이는 보이나 자국의 발전을 위하여 유아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교재 1장에서는 비교교육학과 비교유아교육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2장에서는 서부 유럽의 유아교육(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독일), 3장에서는 북부 유럽의 유아교육(핀란드, 스웨덴), 4장에서는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의 유아교육(미국, 호주), 5장에서는 아시아의 유아교육(한국, 중국, 일본)으로 각 나라별 교육제도, 유아교육의 역사, 행ㆍ재정 체제와 교원 제도 및 유아교육과정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2장부터 5장까지의 각 장에는 해당 나라와 관련한 읽을거리와 교수ㆍ학습 사례를 제시하였다.

    <목차>
    제1부 비교교육학
    제1장 비교교육학과 비교유아교육
    Ⅰ. 비교교육학
    Ⅱ. 비교유아교육

    제2부 서부 유럽의 유아교육
    제1장 프랑스(France)
    Ⅰ. 프랑스의 교육제도
    Ⅱ. 프랑스 영ㆍ유아교육의 역사
    Ⅲ. 프랑스 영ㆍ유아교육의 행ㆍ재정 체제 및 교원 제도
    Ⅳ. 프랑스 유아교육과정
    Ⅴ. 프랑스 유아학교 운영의 실제

    제2장 영국(United Kingdom)
    Ⅰ. 영국의 교육제도
    Ⅱ. 영국 유아교육의 역사 및 행ㆍ재정 체제
    Ⅲ. 영국 유아교육과정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

    제3장 이탈리아(Italy)
    Ⅰ. 이탈리아의 교육제도
    Ⅱ. 이탈리아 유아교육의 역사 및 행ㆍ재정 체제
    Ⅲ. 이탈리아 유아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제4장 독일(Germany)
    Ⅰ. 독일의 교육제도
    Ⅱ. 독일 유아교육의 역사
    Ⅲ. 독일 유아교육의 행ㆍ재정 체제 및 교원 제도
    Ⅳ. 독일 유아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Ⅴ. 독일 유치원 운영의 실제

    제3부 북부 유럽의 유아교육
    제1장 핀란드(Finland)
    Ⅰ. 핀란드의 교육제도
    Ⅱ. 핀란드 영ㆍ유아교육의 역사
    Ⅲ. 핀란드 영ㆍ유아교육의 행ㆍ재정 체제 및 교원 제도
    Ⅳ. 핀란드 영ㆍ유아교육과정

    제2장 스웨덴(Sweden)
    Ⅰ. 스웨덴의 교육제도
    Ⅱ. 스웨덴 유아교육의 역사
    Ⅲ. 스웨덴 유아교육의 행ㆍ재정 체제 및 교원 제도
    Ⅳ. 스웨덴 유아교육과정

    제4부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의 유아교육
    제1장 미국(USA)
    Ⅰ. 미국의 교육제도
    Ⅱ. 미국 유아교육의 역사 및 행ㆍ재정 체제
    Ⅲ. 미국 유아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제2장 호주(Australia)
    Ⅰ. 호주의 교육제도
    Ⅱ. 호주 유아교육의 교육철학 및 행ㆍ재정 체제
    Ⅲ. 호주 영ㆍ유아교육 서비스 운영의 실제

    제5부 아시아의 유아교육
    제1장 중국(China)
    Ⅰ. 중국의 교육제도
    Ⅱ. 중국 유아교육 역사 및 행ㆍ재정 체제
    Ⅲ. 중국 유아교육과정

    제2장 일본(Japan)
    Ⅰ. 일본의 교육제도
    Ⅱ. 일본 영ㆍ유아교육의 역사 및 행ㆍ재정 체제, 교원 제도
    Ⅲ. 일본 영ㆍ유아교육과정
    Ⅳ. 일본 영ㆍ유아교육의 운영 실제

    제3장 한국(Korea)
    Ⅰ. 한국의 교육제도
    Ⅱ. 한국 유아교육의 역사 및 학자
    Ⅲ. 한국 유아교육 행ㆍ재정 체제 및 교원 제도
    Ⅳ. 한국 유아교육과정
    Ⅴ. 한국 영ㆍ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실제

교육목차
1차시 미국의 영유아교육과정
2차시 호주와 일본의 영유아교육과정
3차시 일본과 독일의 영유아교육과정
4차시 뉴질랜드의 영유아교육과정
5차시 비교교육학과 서유럽의 유아교육
6차시 서유럽의 유아교육과 북유럽의 유아교육
7차시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의 유아교육
8차시 아시아의 유아교육
주차별학습(진행단계평가) 필수
+
총 환산점수 60점 이상
수료기준
구분 진도율 점수 반영율 총점
과제 진행단계평가 최종평가 (2회)
기준 80% 이상 0% 10% 90% 환산점수 60점 이상